과속카메라 단속기준 및 단속 거리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분들이 많지 않을 텐데요. 평소에 미리 알아두시면 과속카메라에 걸려서 예기치 않은 과태료 지출을 막을 수 있을 것 같아 한번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과속카메라 단속기준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점점 많아짐에 따라 제한속도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제한속도가 바뀌면서 고정식 단속카메라, 이동식 단속카메라부터 구간단속, 암행 순찰차까지 과속을 적발하기 위한 단속카메라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물론 단속카메라가 많아져도 단속을 하지 않으신다면 전혀 문제될 건 없으실 겁니다.
고정식 단속카메라의 경우 우리가 가장 많이 볼수있는 과속카메라인데요. 고정된 카메라 아래 도로에 자기장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이 2개의 감지센서를 지나가는 속도, 시간을 계산하여 과속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이전에는 차선을 변경하면서 단속을 피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현재는 여러 차선을 한 번에 단속할 수 있게 개선되어 단속카메라를 피할 수 없습니다.
경우 빛의 반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카메라에서 지나가는 차량에게 야 1,200m 거리에서 레이저를 쏘고 그 차량에서 반사되어오는 빛의 속도를 통해 속도를 측정하게 됩니다.
사실 가장 귀찮은 과속카메라가 구간단속카메라인 것 같습니다. 시작점에서 번호판을 찍고 종료점에 번호판을 찍어 그 사이의 시간차를 계산해서 과속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과속카메라 단속거리
과속을 하였더라도 허용속도 범위 내에서 과속을 하셨다면 과속카메라에는 걸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60km/h의 일반국도의 허용속도 범위는 11km/h이며, 고속도로 등 100km/h의 도로에서는 허용속도 범위가 22km/h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다만 허용범위 내 임에도 불구하고 범칙금을 물기도 하는데 카메라 간의 오차 범위와 지차체간의 단속기준이 달라서라고 합니다. 따라서 허용범위 속도라고 하더라도 조금 더 천천히 운행하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구분/제한속도초과범위 | ~20km | 21~40km | 41~60km | 61km~ |
벌점 | 0 | 15점 | 30점 | 60점 |
승용차 | 3만원 | 6만원 | 9만원 | 12만원 |
승합차 | 3만원 | 7만원 | 10만원 | 13만원 |
이륜차 | 3만원 | 4만원 | 6만원 | 8만원 |
오늘은 과속카메라 단속기준 단속 거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과속을 안 하시는 것이 가장 좋지만 만약을 위해 이렇게 과속카메라 단속기준 단속 거리를 알아두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정보
운전면허증 취득일 조회
오늘은 운전면허증 취득일 조회 방법을 안내해드리려고 합니다. 평소에는 운전면허증 취득일이 필요 없지만 운전면허증 갱신기간이 지나게 되면 과태료가 부과되기 때문에 미리 운전면허증 취
minni-e.tistory.com
경차 유류세 환급제도
국민들의 유류세 부담을 줄이고 경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2008년부터 시작된 경차 유류세 환급제도는 올해부터 연간 20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10만 원 증액이 되었습니다. 경차 한대를 보유한 사
minni-e.tistory.com
불법주정차 단속기준
불법 주정차란 정차와 주차가 합쳐진 단어로서 도로에 따라 불법주차단속만 이루어지거나 혹은 불법 주정차 모두 단속하는 곳이 나누어집니다. 정차란 5분 이하로 잠시 차를 대고 있는 상태이
minni-e.tistory.com
'정보의 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 (0) | 2022.03.25 |
---|---|
인천 구직청년 드림체크카드 신청 (인천청년지원금) (0) | 2022.03.23 |
운전면허증 취득일 조회 (0) | 2022.03.10 |
벚꽃 개화시기 2022 및 지역별 벚꽃축제 (0) | 2022.03.09 |
코로나 자가격리자 투표방법 (0) | 2022.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