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21일 어제부터 청년희망적금 가입이 시작되었는데요. 청년희망적금 금리는 기본적으로 5%로 은행별로 동일하지만 우대금리에 따라 은행별 금리가 달라 우대금리를 포함하면 최소 5.2%~6.0%까지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 비교를 통해 어떤 은행에서 가입하는 게 좋을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 한눈에 보기
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우대금리
최대 1%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6%
1. 0.5% 우대금리 조건
- 신규일이 포함된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급여이체 월 합산 금액 50만 원 이상인 월이 6개월 이상
- 신규일이 포함된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자동이체 등 창구 외의 채널을 통해 국민은행 입출금 통장에서 적금으로 납입된 월이 6개월 이상시
- 신규일 기준 예, 적금 상품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청년희망적금 신한은행 우대금리
최대 1%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6%
1. 0.5% 우대금리 조건
- 청년희망적금 신규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적금이 없을 시
2. 0.3% 우대금리 조건
- 소득 이체 실적(50만 원 이상 입금)이 있을 시
3. 0.2% 우대금리 조건
- 신한 인증서 발급 시
- 신한 마이 데이터 서비스 가입 후 금융자산 1개 이상 연결
청년희망적금 농협은행 우대금리
최대 1%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6%
1. 0.5% 우대금리 조건
- 청년희망적금 가입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급여이체 실적이 12개월 이상일 시
2. 0.3% 우대금리 조건
- 청년희망적금 가입 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 적금 미 보유 시
3. 0.2% 우대금리 조건
- 적금 가입 월부터 만기전전월까지 농협은행에서 발급한 신용, 체크카드 월평균 20만 원 이상 실적 이용 시
청년희망적금 하나은행 우대금리
최대 0.7%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5.7%
1. 0.2% 우대금리 조건
- 가입 후 전전월 말 기준 본인 명의 하나은행 입출금 통장을 통해 12회 이상 급여 입금과 주거래 이체실적을 같은월에 보유한 경우
- 가입월의 익월 만기 전 전월말 기준 본인 명의 하나은행 입출금 통장을 통해 12회 차 이상 하나은행 신용카드 결제실적을 보유한 경우
- 가입 후 3개월 이내에 주택청약 종합저축을 신규하고 만기시점까지 보유 시
2. 0.1% 우대금리 조건
청년희망적금 가입 후 하나은행 상품 마케팅 항목 동의 시
청년희망적금 기업은행 우대금리
최대 0.9%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5.9%
1. 0.3% 우대금리 조건
- 종이통장 미발행시
- 당행 급여이체 실적 월 50만 원 이상 6개월 이상 시
- 당행 신용카드 3백만 원 이상 사용 시
청년희망적금 대구은행 우대금리
최대 0.5%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5.5%
1. 0.2% 우대금리 조건
- 대구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시
- 18회 차 이상 자동이체 시
2. 0.1% 우대금리 조건
- 대구은행 개인 IRP 보유 시
청년희망적금 부산은행 우대금리
최대 0.5%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5.5%
1. 0.3% 우대금리 조건
- 부산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시
2. 0.2% 우대금리 조건
- 비대면 채널 신규가입 시
청년희망적금 광주은행 우대금리
최대 0.2%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5.2%
1. 0.1% 우대금리 조건
- 개인정보 수집, 이용 제공 동의 시
- 무통자 비대면 신규로 예금 가입 시
청년희망적금 제주은행 우대금리
최대 0.5% 우대금리 적용 시 청년희망적금 금리 5.5%
1. 0.3% 우대금리조건
- 제주은행 계좌로 월 50만 원 이상 급여이체 실적 보유 시
- 제주은행 계좌로 매월 카드대금 이체실적 보유 시
2. 0.2% 우대금리조건
- 매 저축 건별 자동이체 거래 시
같이 보면 좋은 정보
청년희망적금 자격 및 자격조회
이번 달 21일에 출시 예정인 청년희망적금 출시를 앞두고 청년희망적금 자격 및 신청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2022년 청년희망적금은 연 이율 9% 수준의 일반 적금과 비
minni-e.tistory.com
2022년 일자리안정자금 지원대상 및 금액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자영업, 영세사업자분들을 위해 일자리 안정자금이라는 지원정책이 있어 오늘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부 정책은 매년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오
minni-e.tistory.com
청년월세지원금 알아보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청년 월세 지원사업은 기준이 충족된다면 독립 거주 무주택 청년들에게 월세를 한 달에 최대 20만 원까지 청년월세지원금
minni-e.tistory.com
'경제적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요일 근무수당 (휴일근로수당) (0) | 2022.03.31 |
---|---|
상속세 면제한도액 알아보아요 (0) | 2022.03.21 |
2022년 일자리안정자금 지원대상 및 금액 (0) | 2022.02.21 |
장애인연금 지급대상 (0) | 2022.02.12 |
청년희망적금 자격 및 자격조회 (0) | 2022.02.09 |
댓글